Script를 지원하지 않습니다.
본문 바로가기상단메뉴 바로가기
교육행정포털
경상북도교육청정보센터

저체중

  • 홈으로
  • 배워보기
  • 바람직한다이어트
  • 저체중

바람직한 다이어트를 위한
교육용 동영상 자료입니다.

저체중

  • 저체중
  • 동영상 보기

체중변화 (저체중에 대하여!)

체중의 변화는 신체의 지방, 단백질, 무기질, 수분의 변화와 관련이 있습니다.
일반적으로 건강한 사람도 매일 ±0.5kg이하로 체중이 변화합니다. 그러나, 급·만성 질환시 이화작용의 항진으로 음의 질소평형이 되어 체내 대사의 연료로 단백질뿐 아니라 내인성 에너지원을 신체가 사용하기 때문에 체중은 감소하게 됩니다.

기아상태 및 초기체중의 약 30%에 달하는 체중감소는 사망에 이르기도 하며 만성적인 반 기아상태는 체중을 이상 체중의 약 50~60%이하로 감소시킬 수도 있습니다.

체중이 1주일에 1~2%, 1개월에 5%, 3개월에 7.5%, 6개월에 10%가 감소하면 유의적으로 감소함을 나타내며,
1주일에 2%이상, 1개월에 5%이상, 3개월에 7.5%이상, 6개월에 10%이상이 감소하면 건강이 심각한 상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.

체중손실률(%)=(평상시 체중 또는 이화전 체중 - 현재 체중)/평상시체중X100

표준체중 백분율 및 판정표
표준체중 백분율 및 판정표
표준체중 백분율(%) 판정
> 70% 격심한 체중부족
70-79% 중정도 체중부족
80-89% 경정도 체중부족
90-109% 정상체중
110-119% 체중과다
< 120% 격심한 체중과다(비만)

체중변화(저체중에 대하여!)

  • 1활동량에 비해 음식물을 먹는 양이 부족하거나 질이 낮을 때
  • 2먹은 음식물이 제대로 소화, 흡수되지 못할 때
  • 3편식이 심할 때
  • 4결핵이나 갑상선기능항진증 등과 같은 소모성질환이 있을 때
  • 5심리적 스트레스, 불안, 걱정등으로 인한 식욕부진이 있을 때
  • 먹는 양이 부족하거나 질이 낮을 때 먹는 양이 부족하거나
    질이 낮을 때
  • 편식이 심할 때 편식이 심할 때
  • 심리적 스트레스, 불안, 걱정 심리적 스트레스,
    불안, 걱정

저체중의 증상

  • 1식욕부진, 소화장애 등에 의한 빈혈, 골다공증에 걸리기 쉽습니다.
  • 2신체면역력이 저하되어 결핵, 간염, 감기등의 감염성 질환에 걸리기 쉽습니다.
  • 3여성의 경우 불임, 저능아 출산, 생리불순, 유산의 확률이 높아지기 쉽습니다.
  • 4쉽게 피로감을 느끼고 피부가 건조해지면 탄력성이 감소됩니다.
  • 빈혈, 골다공증 빈혈, 골다공증
  • 피로, 피부건조, 탄력성 감소 피로, 피부건조,
    탄력성 감소

저체중의 관리법

  • 1반드시 1일 3회의 식사를 규칙적으로 합니다.
  • 2식사와 식사사이에 적당량의 간식을 합니다.
  • 3너무 많은 양의 음식을 한꺼번에 먹는것보다는 열량이 농축되어 있는 식품을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.
  • 4특별히 좋아하는 식품이 있을 경우 좋아하는 음식을 자주 많이 먹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.
  • 5고기, 생선, 계란, 콩, 두부 등과 같은 단백질 식품을 매끼 먹어야 합니다. 단백질이 부족하면 위장점막을 비롯하여,
    신체내의 중요한 성분 제대로 만들어지지 못합니다.
  • 6식용유, 버터, 당분류를 조리시 많이 먹도록 합니다.
  • 7저체중인 여성의 경우 골다공증에 걸릴 위험이 많으므로 1일 2회 이상 우유나 유제품을 섭취하도록 합니다.
  • 8지나친 흡연과 과음, 커피등의 카페인 음료를 과다하게 마시면 영양소의 흡수를 방해하므로 삼가하도록 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