체중변화 (저체중에 대하여!)
체중의 변화는 신체의 지방, 단백질, 무기질, 수분의 변화와 관련이 있습니다.
일반적으로 건강한 사람도 매일 ±0.5kg이하로 체중이 변화합니다. 그러나, 급·만성 질환시 이화작용의 항진으로 음의 질소평형이 되어 체내 대사의 연료로 단백질뿐 아니라 내인성 에너지원을 신체가 사용하기 때문에 체중은 감소하게 됩니다.
기아상태 및 초기체중의 약 30%에 달하는 체중감소는 사망에 이르기도 하며 만성적인 반 기아상태는 체중을 이상 체중의 약 50~60%이하로 감소시킬 수도 있습니다.
체중이 1주일에 1~2%, 1개월에 5%, 3개월에 7.5%, 6개월에 10%가 감소하면 유의적으로 감소함을 나타내며,
1주일에 2%이상, 1개월에 5%이상, 3개월에 7.5%이상, 6개월에 10%이상이 감소하면 건강이 심각한 상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.

표준체중 백분율 및 판정표
표준체중 백분율 및 판정표
표준체중 백분율(%) |
판정 |
> 70% |
격심한 체중부족 |
70-79% |
중정도 체중부족 |
80-89% |
경정도 체중부족 |
90-109% |
정상체중 |
110-119% |
체중과다 |
< 120% |
격심한 체중과다(비만) |
체중변화(저체중에 대하여!)
- 1활동량에 비해 음식물을 먹는 양이 부족하거나 질이 낮을 때
- 2먹은 음식물이 제대로 소화, 흡수되지 못할 때
- 3편식이 심할 때
- 4결핵이나 갑상선기능항진증 등과 같은 소모성질환이 있을 때
- 5심리적 스트레스, 불안, 걱정등으로 인한 식욕부진이 있을 때
-
먹는 양이 부족하거나
질이 낮을 때
-
편식이 심할 때
-
심리적 스트레스,
불안, 걱정
저체중의 증상
- 1식욕부진, 소화장애 등에 의한 빈혈, 골다공증에 걸리기 쉽습니다.
- 2신체면역력이 저하되어 결핵, 간염, 감기등의 감염성 질환에 걸리기 쉽습니다.
- 3여성의 경우 불임, 저능아 출산, 생리불순, 유산의 확률이 높아지기 쉽습니다.
- 4쉽게 피로감을 느끼고 피부가 건조해지면 탄력성이 감소됩니다.
-
빈혈, 골다공증
-
피로, 피부건조,
탄력성 감소
저체중의 관리법
- 1반드시 1일 3회의 식사를 규칙적으로 합니다.
- 2식사와 식사사이에 적당량의 간식을 합니다.
- 3너무 많은 양의 음식을 한꺼번에 먹는것보다는 열량이 농축되어 있는 식품을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.
- 4특별히 좋아하는 식품이 있을 경우 좋아하는 음식을 자주 많이 먹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.
- 5고기, 생선, 계란, 콩, 두부 등과 같은 단백질 식품을 매끼 먹어야 합니다. 단백질이 부족하면 위장점막을 비롯하여,
신체내의 중요한 성분 제대로 만들어지지 못합니다.
- 6식용유, 버터, 당분류를 조리시 많이 먹도록 합니다.
- 7저체중인 여성의 경우 골다공증에 걸릴 위험이 많으므로 1일 2회 이상 우유나 유제품을 섭취하도록 합니다.
- 8지나친 흡연과 과음, 커피등의 카페인 음료를 과다하게 마시면 영양소의 흡수를 방해하므로 삼가하도록 합니다.